[지식정보] 백화점/복합쇼핑몰 2016년 전망
2011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백화점 성장세 고착화 현상은 2015년에도 계속되고 있다. 분위기 전환을 위해 주요 백화점들은 면세점, 도심형 아웃렛, 교외형 복합쇼핑몰 사업으로 방향 전환 중에 있다.
자료/재인용: 리테일매거진 2016년1월호
대한상공회의소, 월간유통산업 월간유통산업동향 2016.2
델코지식정보 국내리테일 http://www.delco.co.kr/pages/sub4_01.htm
백화점/복합쇼핑몰 2016년 전망
2015년 백화점 매출은 29.1조원으로 2012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내려갔으며 전년대비 0.7% 하락세.
백화점 시장 위축 배경: 인구절벽으로 소비시장 규모 한계, 이미 백화점 상권에 모두 출점, 온라인 및 해외직구 증가, 패션상품의 아웃렛 시장으로 이동 증가, 10~20대 고객 SPA로 이동, 경쟁 복합쇼핑몰의 증가, 글로벌 경제 불안, 취업난, 베이비 부머 은퇴 등
엔저 현상으로 인해 일본으로 중국고객 유출. 2015년 1~10월까지 일본 백화점의 외국인 관광객 매출은 1,517억엔으로 일본 전체 백화점 매출액의 3% 차지하여 전년대비 3배나 증가. 중국인+홍콩+대만 관광객의 일본 유입 계속 증가 중.
20년전 백화점 업계는 매출 성장을 위해 대형마트와 TV홈쇼핑을 새롭게 선보였지만, 이제는 동일한 패턴으로 도심형 아웃렛과 면세점에 치중.
백화점 변신 방향 정리
면세점 치중
아웃렛 치중
백화점 세일 증가
매장내 푸드마켓
도심형 복합쇼핑몰 전개
매장증축 및 신규 출점(아웃렛, 복합몰 위주) 확대
이업종 업체와 콜라보레이션 확대
1. 2015년 백화점 매출 및 동향
2015년 백화점 매출은 29.1조원으로 2012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내려갔으며 전년대비 0.7% 하락세.
백화점 시장이 위축되고 있는 배경은 인구절벽으로 소비시장 규모 한계, 이미 백화점 상권에 모두 출점, 온라인 및 해외직구 증가, 패션상품의 아웃렛 시장으로 이동 증가, 10~20대 고객 SPA로 이동, 경쟁 복합쇼핑몰의 증가, 글로벌 경제 불안, 취업난, 베이비 부머 은퇴 등
2015년 백화점 정체요인 중 가장 큰 요인은 메르스 사태. 내수+중국인 관광객 급감. 중국인 관광객 8% 감소.
엔저 현상으로 인해 일본으로 중국고객 유출. 2015년 1~10월 까지 일본 백화점의 외국인 관광객 매출은 1,517억엔으로 일본 전체 백화점 매출액의 3% 차지하여 전년대비 3배나 증가. 중국인+홍콩+대만 관광객의 일본 유입 계속 증가 중.
결과적으로 백화점은 최상위 고객만을 위한 공간으로 변모.
20년전 백화점 업계는 매출 성장을 위해 대형마트와 TV홈쇼핑을 새롭게 선보였지만, 이제는 동일한 패턴으로 도심형 아웃렛과 면세점에 치중.
백화점 매출 변화
자료/재인용: 리테일매거진 2016년1월호
자료: 통계청 소매업태별 판매액(경산금액 기준)
주요 업태별 성장률 추이 (%)
주 1 : 소매업태별 판매액 불변지수 기준, 전년 동월비 증감률
출처 : 통계청
자료/재인용: 대한상공회의소, 월간유통산업 월간유통산업동향 2016.2
국내 소매업태별 판매액(백만원)
주 1 : 전문소매점 : 일정한 매장을 갖추고 특정상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소매점
주 2 : 무점포소매 : 인터넷쇼핑, 홈쇼핑, 방문 및 배달소매점
출처 : 통계청
자료/재인용: 대한상공회의소, 월간유통산업 월간유통산업동향 2016.2
2. 백화점의 면세점 치중
2015년 면세점 참여신청은 롯데 신세계 현대 등 백화점 3사 외에 호텔신라 현대산업개발 SK 두산 한화 등도 참여하여, 호텔신라+현대산업개발 컨서시움과 신세계, 두타가 선정. 기존사업자인 롯데 잠실과 SK 워커힐이 탈락.
백화점 대형마트가 매출둔화하고 있는 상황에 성장 잠재력이 큰 면세점에 백화점 업체들이 치중.
3. 백화점의 아웃렛 치중
롯데는 아웃렛을 2014년 고양터미날점, 광명점(프리미엉 아웃렛), 구리점 오픈하고, 2015년 인천에 오픈하여 도심형 아웃렛을 확대.
특히 프리미엄 아웃렛 경우 서울 부동심 매출액을 상회하여 백화점 업체들은 직접 패션 브랜드 사업 참여를 확대 중. 롯데는 글로벌 패션팀을 신설해 훌라 짐보리 소니아리키엘 겐조 아이그너 등 판권을 확보. 현대는 한섬을 인수. 신세계는 신세계인터내셔널을 통해 해외 브랜드 관리.
4. 백화점 세일 증가
2015년 소비가 위축되면서 백화점 세일기간이 100일을 넘어섰다.
정부 주도형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와 민간주도형 ‘K-세일데이’ 등 다양한 이벤트가 전개.
롯데 현대는 ‘출장세일’을 통해 종래 호텔 연회장에서 하던 행사를 킨텍스 벡스코 세텍 코엑스 같은 전시장에서 100억원대 상품을 방출
가치소비를 중시하는 소비자를 백화점으로 회귀시키기 위해 소규모세일보다 대형 세일에 치중. 2015년 10월 전년동기대비 11.4% 신장.
그러나 고객은 세일에 둔감해지면서 정상기간에 구매하는 가격은 손해라는 이미지가 강해지고 있다.
5. 백화점 매장내 푸드마켓
푸드마켓 배경: 소비자 입장에서 가치소비가 확대되면서 명품 사용자가 실속소비를 하는 cross-selling이 보편화+상대적으로 작은 사치 증가. ‘멋’보다 ‘맛’이라는 작은 사치를 선택하는 젊은 층 대상
2015년말 오픈한 현대 판교점 지하는 국내 최대규모 식품관으로 유럽식 그로서란트(그로서리+레스토랑)로 운영. 이탈리아 푸두마켓 ‘이탈리’, 덴마크 주스’조앤더주스’, 컵케이크 전문점’ 매그놀리아’ 등 글로벌 디저트 브랜드가 다양하게 입점.
베이커리 매장의 ‘스위트 붐’도 함께 유행. 2013년 ‘몽슈슈’로 촉발된 브랜드 빵부터 인기 시작.
백화점 식품관은 유명 레스토랑부터 팝콘에 이르기 까지 글로벌 브랜드가 다양하게 입점.
6. 도심형 복합쇼핑몰 전개
코엑스몰이 15년 만에 리뉴얼 확장하였지만 비전문가 개입으로 실패. 이를 다시 극복하기 위해 다시 재구성 노력 중.
서울 반포 센트럴시티는 신세계 주도로 강남점과의 시너지 효과가 상승.
도심형 복합몰 역량은 엔터테인먼트+F&B 믹스가 중요. 기존 백화점의 강점이던 유명 F&B가 복합몰에도 대량 입점하면서 인기가 상승.
한번 실패했던 기존 쇼핑몰이 새로운 주인을 만나면서 재탄생하는 사례가 증가. 2015년 5월 신도림 디큐브시티가 현대백화점으로 변신. 현대는 동대문 케레스타와도 20년 임차계획으로 도심형 아웃렛 추진.
7. 백화점 3사 매장증축 및 신규 출점(아웃렛, 복합몰) 확대
2016년은 본업인 백화점 영업면적 확대에 치중 전망.
롯데는 목포 남악점과 진주점(도심형아웃렛) 각 9,000평 규모로 롯데마트와 시네마와 함께 하반기에 오픈. 신 대구부산고속도로 수성IC인근 부지(약 23,000평)에 교외형 복합몰 2018년 오픈 목표.
현대는 프레미엄아웃렛 송도점, 서울 장지동 가든파이브, 동대문 아웃렛 오픈.
신세계는 강남점 증축(매장 약 25,000평), 부산 센텀시티 B관, 김해관, 대구점, 하남 복함쇼핑몰(백화점+영화관+어린이 테마파크) 오픈.
8. 이업종 업체와 콜라보레이션 확대
이케아효과: 광명점이케아+광명점 롯데프리미엄 아웃렛, 광명점이케아+광명점 코스트코.
일산 이마트타운의 아마트+카테고리 킬러.
타 회사와의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입지 창출이 대세.
2012~2015년 월별 백화점 매출 신장률
자료/재인용: 리테일매거진 2016년1월호
자료: 산업통산자원부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백화점 업계 아웃렛 출점 현황
자료/재인용: 리테일매거진 2016년1월호
파일 다운로드: 백화점/복합쇼핑몰 2016년 전망.pdf